당뇨병 환자는 다양한 합병증에 노출되어 있다. 그중 가장 신경 써야 할 것이 ‘발 건강 관리’다. 당뇨병성 족부병증, 당뇨발로도 불리는 이 합병증은 최악의 경우 다리 절단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다.
‘당뇨발’은 당뇨병 환자 5명 중 1명이 앓는 합병증으로 알려져 있다. 당뇨가 오래되면 말초혈관 손상 및 감각 둔화로 인해 발에 상처나 통증이 생겨도 알아차리기 어렵다. 더 큰 문제는 상처가 저절로 낫지 않고 범위를 점점 더 넓혀가는 것이다.
당뇨발 고위험군으로는 ▲혈당 조절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는 환자 ▲콩팥(신장) 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하는 환자 ▲흡연자를 들 수 있다.
민트병원 혈관센터 배재익 대표원장(인터벤션 영상의학과 전문의/의학박사)은 “혈당이 제대로 관리되지 않는 기간이 길면 길수록 미세혈관, 말초신경 손상 정도가 급격히 커진다”며 “이런 상황이 당뇨발을 일으키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따라서 평소 혈당이 잘 조절되는지 주기적으로 체크하는 게 중요하다. 특히 당화혈색소 수치를 잘 알아야 한다. 당화혈색소란 적혈구 혈색소 중에서 포도당에 의해 당화된 것을 퍼센트로 수치화해 2~3개월간 평균적 혈당을 반영한 것으로 일반 내과에서 쉽게 검사할 수 있다.
당뇨병과 함께 ‘콩팥(신장) 기능 손상’이 동반된 경우도 당뇨발을 주의해야 한다. 만성신부전의 원인에 당뇨병이 큰 비중을 차지하며, 혈액투석을 하는 경우 당뇨발 위험도는 5~6배 이상 뛴다. 투석 환자들이 팔 혈관뿐 아니라 다리 혈관 건강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다.
생활 속에서 당뇨발을 악화시키는 요소는 ‘흡연’이다. 배재익 대표원장은 “현존하는 가장 강력한 말초혈관 수축제가 바로 ‘니코틴’”이라며 “혈관을 확장시키는 약을 먹어도 말초까지 순환이 쉽지 않은 상황인데, 흡연을 할 경우 당뇨발 위험성 10배 이상 높아진다”며 금연을 강조했다.
따라서 혈당 관리, 혈액순환을 위한 가벼운 운동, 금연, 발 위생 관리에 신경 써야 당뇨발을 예방할 수 있다. 당뇨를 앓은지 오래되었거나 혈액투석 치료를 받는다면 다리 혈관 검사를 정기적으로 받아보는 것도 당뇨발 조기 발견에 도움이 된다.
당뇨발은 조기 발견 시 좁아지거나 막힌 혈관을 개통하는 인터벤션 혈관 개통술을 적용해 혈류를 개선, 외과수술이나 다리 절단 없이 발을 보존할 수 있다.
[ⓒ 세계비즈앤스포츠월드 & sportsworldi.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